취약계층을 위한 스마트 케어 확충으로 돌봄 케어에 공백이 생길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IoT 기술을 활용, 취약 어르신의 실시간 안전 확인 등 비대면 돌봄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체계적인 시스템 운영으로 고독사를 방지 및 돌봄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의료지원 설루션입니다.
취약 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
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대상자 중 안전에 취약하신 어르신 12,500가구에 대해 지원을 하고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기를 각각의 어르신 집에 설치하여 어르신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비상시 신속하게 응급대응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합니다.
취약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
- 사업대상 : 12,500가구(안전 취약어르신)
- 사업내용 : 가정내 취약어르신의 실시간 안전 확인
- 운영체계 : 기기보급[1단계] 기기모니터링[2단계]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[3단계]
※ 자살(우울) 위험군, 관계 단절, 시 청각장애, 치매(의심), 고령 등 고위험군 우선 선정
- 서비스 활용 : 솔루션(움직임, 온도, 습도, 조도) 기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
- 움직임(활동량): 움직임이 일정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주의, 경보, 위험 단계 표시
어르신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아래와 같이 단계별로 응급 단계를 설정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단계일 경우 신속하게 방문 및 친인척에게 알림으로써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또한 여름철 온도가 높아질 경우 대피 안내를 해드리고 겨울철 방 안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방한물품을 지원하는 지원도 하고 있습니다. 또한 조명기구의 밝기도 측정하여 조도가 높은 LED로 교체해주는 지원도 포함됩니다.
- 온도: 여름철 방안 온도가 35도 이상인 경우 무더위 쉼터로 대피 안내
- 겨울철 방안 온도가 현저히 낮은 경우 한파 관련 물품 우선 지원
- 습도: 60% 이상일 경우 곰팡이 발생률 높은 세대로 주거환경개선 우선 지원
- 조도: 밝기 지수가 낮은 경우 LED 우선 교체
담당자 정보제공부서 : 어르신복지과 연락처 : 2133-7417
'의료 정보 관련 > 정책 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전 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 제도 (0) | 2022.06.13 |
---|---|
입원 전담 전문의 제도 알고 계시나요? (0) | 2022.06.12 |
서울시 중증 장애인 맞춤형 지원 확대 소식 알려드려요 (0) | 2022.06.09 |
가사 및 간병 방문 서비스 정부 지원금 받으세요 (0) | 2022.06.09 |
우리 동네 돌봄단 지원 정책 알고 계세요 (0) | 2022.06.0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