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증 장애인들이 자력적으로 삶을 영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자의적으로 결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 맞춤형 지원정책을 강화한 "중증 장애인 맞춤형 지원" 형식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의 정책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. 이 정책은 중증장애인에 대해서만 해당된다는 점 미리 숙지를 하시고 설명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.
서울시 중증장애인 맞춤형 복지 지원
중증 장애인에 대한 각 개개인의 맞춤형 인프라 구축으로 현실적인 복지 체감도를 향상하고 및 보다 나은 서비스로 자립성을 키우자는 목적이 있다는 점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.
중증 장애인 유형별 맞춤형 지원
서울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중증장애인의 자산형성 지원 사업으로 '이룸 통장' 복지지원을 시행합니다.
- 지원내용 : 월 10. 15. 20만 원 중 선택하여 적립 시, 월 15만 원 매칭 지원
- 지원방법 : 신청자 가구에 대한 소득. 재산 등 조사 및 심사를 거쳐 지원대상 선정
- 사용목적 : 미래 대비 신탁 준비, 결혼자금, 주거비, 의료비 등으로 활용
이룸 통장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보다 디테일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- 최중증 뇌병변 장애인 대소변 흡수 용품(기저귀) 지원 (7억 원)
- 만 3세 이상 - 54세 이하 뇌병변 장애인(구매비용 50%, 월 5만 원 한도)
사회보장 심의(18.4월), 수행기관 선정(18.8월), 18. 8월부터 지원 중(19년까지 누적 1,273명, 20년 969명 지원)
- 시각장애인 생활 이동 지원 등 강화로 서비스 체감도 향상
-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한 바우처 택시 : 보행에 장애가 있는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
- 장애인복지콜(시각 또는 신장) 또는 장애인 콜택시 가입자로 대상 확대
- 시각, 신장장애인 복지콜 운영: 158대 차량으로 장애인 콜택시와 동일 요금 수준
중증장애인 전수조사
유형별 중증장애인 대상 개별 가구 방문조사(3년 주기)
(20년~;21년 발달장애인 22년 지체 뇌병변 장애인 23년 시각, 청각 등 11개 유형 장애인)
※코로나19 상황에 따라 '20년 발달장애인 전수조사는 2개년 동안 추진
중증 재가 장애인의 인권침해, 생활실태 및 욕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
정보제공부서
장애인복지정책과 연락처 : 02-2133-7445
'의료 정보 관련 > 정책 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전 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 제도 (0) | 2022.06.13 |
---|---|
입원 전담 전문의 제도 알고 계시나요? (0) | 2022.06.12 |
가사 및 간병 방문 서비스 정부 지원금 받으세요 (0) | 2022.06.09 |
우리 동네 돌봄단 지원 정책 알고 계세요 (0) | 2022.06.05 |
취약 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을 아세요? (0) | 2022.05.30 |
댓글